안녕하세요. 오늘은 국회의원 선거일인데요 다들 투표하셨나요? 우리의 권리를 이행하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오늘 정리할 파트는 입지 및 공간구조론입니다. 이 부분을 공부하다보면 외국 학자 이름들도 많이 나오고 다 좋은 말인 것 같아서 누가 어떤 이론을 얘기했는지 헷갈리는데요.. 각 학자마다 포인트가 되는 부분을 캐치한 후에 기출 문제를 자주 풀어보는 게 좋은 돌파구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공부하시는 데 참고가 되면 좋겠습니다.
이 파트에서는 기출 지문을 쭉 정리하는 것보다 문제로 보는 게 좋을 것 같아 기출문제 정리 방식으로 해보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문제. 마샬의 준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한계생산이론에 입각하여 리카도의 지대론을 재편성한 이론이다.
② 준지대는 생산을 위하여 사람이 만든 기계나 기구들로부터 얻는 소득이다.
③ 토지에 대한 개량공사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소득은 준지대에 속한다.
④ 고정생산요소의 공급량은 단기적으로 변동하지 않으므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준지대는 고정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⑤ 준지대는 토지 이외의 고정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으로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영구적으로 지대의 성격을 가지는 소득이다.
정답: 5번
해설: 준지대란 생산을 위하여 사람이 만든 기계나 기구들로부터 얻는 소득으로, 토지에 대한 개량공사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소득은 준지대에 해당합니다. 준지대는 영구적이 아니라 단기간 일시적으로 발생합니다.
문제.다음의 내용을 모두 설명하는 지대는?
지대는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독점적 지위 때문에 받는 수입이므로 최열등지에서도 발생함 지대란 토지의 비옥도나 생산력에 관계없이 발생함 지대는 토지의 사유화로 인해 발생함 |
① 마샬의 준지대
② 리카도의 차액지대
③ 알론소의 입찰지대
④ 튀넨의 위치지대
⑤ 마르크스의 절대지대
정답: 5번
해설: 마르크스의 절대지대설에서 지대는 자본주의하에서 토지의 사유화로 인해 발생하며,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독점적 지위 때문에 받는 수입이므로 토지의 비옥도나 생산력에 관계없이 발생한다는 이론입니다. 즉, 토지의 소유 자체가 지대의 발생요인인 것입니다.
위와 같은 문제는 절대 틀리시면 안됩니다. 아주 쉬운 유형의 문제입니다.
문제. 다음 중 리카도의 차액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지대 발생의 원인으로 비옥한 토지의 부족과 수확체감의 법칙을 제시하였다. ㄴ. 조방적 한계의 토지에는 지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무지대 토지가 된다. ㄷ. 토지소유자는 토지소유라는 독점적 지위를 이용하여 최열등지에도 지대를 요구한다. ㄹ. 지대는 잉여이기에 토지생산물의 가격이 높아지면 지대가 높아지고 토지생산물의 가격이 낮아지면 지대도 낮아진다. |
① ㄱ,ㄷ
② ㄴ,ㄹ
③ ㄱ,ㄴ,ㄷ
④ ㄱ,ㄴ,ㄹ
⑤ ㄴ,ㄷ,ㄹ
정답: 4번
해설: ㄷ은 마르크스의 절대지대론에 해당합니다. 바로 위에 있는 문제와 비교해서 보시면 참 좋겠네요.
문제.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리카도는 비옥도의 차이, 비옥한 토지량의 제한, 수확체감법칙의 작동을 지대발생의 원인으로 보았다.
② 위치지대설에 따르면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지대는 중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하락한다.
③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토지의 소유 자체가 지대의 발생요인이다.
④ 입찰지대설에 따르면 토지이용은 최고의 지대지불의사가 있는 용도에 할당된다.
⑤ 차액지대설에 따르면 지대는 경제적 잉여가 아니고 생산비이다.
정답: 5번
해설: 리카도는 고전학파 학자로 지대를 불로소득으로 간주하였으며, 다른 생산 요소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남은 잔여인 경제적 잉여로 파악했습니다.
어떠신가요? 반복되는 내용이 많죠? 기출에 자주 출제된 부분을 확실히 잡으신다면 실제 시험장에서 정답을 맞출 확률이 올라갑니다. 그럼 공인중개사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아자아자아자!!!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 학개론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이론 기출문제 정리하기 (0) | 2024.04.10 |
---|---|
공인중개사 1차 부동산학개론 지대이론 기출문제 정리 파트 2 (1) | 2024.04.10 |
공인중개사 1차 학개론 부동산 시장 기출지문 옳은내용 정리 주택여과과정 (0) | 2024.03.31 |
공인중개사 1차 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기출지문 옳은 내용 정리 (2) | 2024.03.31 |
학개론 부동산의 경기변동이론 옳은기출지문 정리하기 (1) | 202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