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공인중개사 1차 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기출지문 옳은 내용 정리

34회 공인중개사 2024. 3. 31. 13:17
반응형

 

 

 

호수와 뷰 모두가 갖춰진 멋진 조망

 

 

 

계속해서 미뤄두었던 학개론 기출 지문 정리를 이어가보겠습니다. 부동산 시장론은 비교적 내용이 쉬운 편이기 때문에 자주 보고 익히셔서 꼭 맞추시기 바랍니다. 

 

 

 

1. 부동산시장에서는 어떤 특정한 지역에 국한되는 시장의 지역성 혹은 지역시장성이 존재한다. 

 

 

2. 부동산시장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부동산가격의 왜곡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3. 할당 효율적 시장에서는 부동산 거래의 은밀성으로 인해 부동산가격의 과소평가 또는 과대평가 등 왜곡가능성이 적어진다. 

 

 

4. 부동산 거래비용의 증가는 부동산 수요자와 공급자의 시장 진출입에 제약을 줄 수 있어 불완전경쟁시장의 요인이 될 수 있다. 

 

 

5. 개별성의 특성은 부동산상품의 표준화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부동산시장을 복잡하고 다양하게 한다. 

 

 

6. 부동산시장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행정적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수요,공급도 그 지역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7. 부동산시장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가격형성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따. 

 

 

8. 부동산시장은 거래의 비공개성으로 시장의 국지성과 더불어 부동산 가격이 불합리하게 형성되며, 이는 부동산의 개별성과 사회적 통제나 관행 등과 관련이 깊다. 

 

 

9. 부동산시장은 외부효과에 의해 시장의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10. 부동산시장에서는 매도인의 제안가격과 매수인의 제한가격의 접점에서 부동산 가격이 형성된다. 

 

 

11. 불완전경쟁시장에서도 할당 효율적 시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12. 진입장벽의 존배는 부동산시장을 불완전하게 만드는 원인이다. 

 

 

13. 부동산시장의 분화현상은 경우에 따라 부분시장별로 시장의 불균형을 초래하기도 한다. 

 

 

 

동남아를 연상시키는 푸르른 조경

 

 

 

14. 강성 효율적 시장에서는 정보를 이용하여 초과이윤을 얻을 수 없다. 

 

 

15. 부동산에 가해지는 다양한 공적 제한은 부동산시장의 기능을 왜곡할 수 있다. 

 

 

16. 부동산시장이 강성 효율적 시장일 때 초과이윤을 얻는 것은 불가능한다. 

 

 

17.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유형, 규모, 품질 등에 따라 구별되는 하위시장이 존재한다. 

 

 

18. 부동산시장이 준강성 효율적 시장일 때 새로운 정보는 공개되는 즉시 시장에 반영된다. 

 

 

19. 부동산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이라더라도 할당 효율적 시장이 될 수 있다. 

 

 

기출 문제 하나만 풀어볼까요?


 

문제. 주택시장에서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택 공급자의 신용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공급자 선효를 구분하는 것이다. 

② 일정한 기준에 의해 주택 수요자를 보다 동질적인 소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③ 주택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매도자 우위의 시장을 의미한다

④ 공급하고자 하는 주택이 가장 잘 팔릴 수 있는 시장을 의미한다. 

⑤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지면 시장정보가 증가하여 거래비용이 항상 증가한다. 

 


 

정답: 2번

해설: 시장세분화란 일정한 기준에 의해 주택 수요자를 보다 동질적인 소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약성 효율적 시장, 준강성 효율적 시장, 강성 효율적 시장의 지문이 헷갈리게 나와서 수험생들이 자주 실수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비교적 쉬운 파트인 점을 감안하면 이런 문제들은 꼭 맞추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안정적으로 합격 점수를 얻을 수 있으니깐 말이죠.

공인중개사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수험생 여러분들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