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공인중개사 1차 부동산학개론 지대이론 기출문제 정리 파트 2

34회 공인중개사 2024. 4. 10. 11:10
반응형

 

 

다들 합격하여 멋진 공인중개사가 되길 바랍니다.

 

 

 

 

자 그럼 이어서 기출문제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이전에 정리했던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getarealestatelicense.tistory.com/entry/%EA%B3%B5%EC%9D%B8%EC%A4%91%EA%B0%9C%EC%82%AC-1%EC%B0%A8-%ED%95%99%EA%B0%9C%EB%A1%A0-%EC%9E%85%EC%A7%80-%EB%B0%8F-%EA%B3%B5%EA%B0%84%EA%B5%AC%EC%A1%B0%EB%A1%A0-%EC%98%B3%EC%9D%80-%EA%B8%B0%EC%B6%9C%EB%AC%B8%EC%A0%9C-%EC%A0%95%EB%A6%AC%ED%95%98%EA%B8%B0

 

공인중개사 1차 학개론 입지 및 공간구조론 기출문제 정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회의원 선거일인데요 다들 투표하셨나요? 우리의 권리를 이행하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오늘 정리할 파트는 입지 및 공간구조론입니다. 이 부분을 공부하다보면 외국

getarealestatelicense.tistory.com

 

 

29회 기출문제. 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리카도는 지대 발생의 원인을 비옥한 토지의 희소성과 수확체감현상으로 설명하고, 토지의 질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임대료의 차이로 보았다.
ㄴ. 마샬은 일시적으로 토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을 준지대로 설명하고, 단기적으로 공급량이 일정한 생산요소에 지급되는 소득으로 보았다.
ㄷ. 튀넨은 한계지의 생산비와 우등지의 생산비 차이를 절대지대로 보았다.
ㄹ. 마르크스는 도시로부터 거리에 따라 농작물의 재배형태가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수송비의 차이가 지대의 차이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① ㄱ,ㄴ

② ㄴ,ㄷ

③ ㄱ,ㄴ,ㄹ

④ ㄱ,ㄷ,ㄹ

⑤ ㄴ,ㄷ,ㄹ

 


 

정답: 1번

해설:

ㄷ: 어떤 토지의 지대는 해당 토지의 생산성과 한계지의 생산성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 학자는 리카도입니다.

ㄹ: 도시로부터 거리에 따라 농작물의 재배형태가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수송비의 차이가 지대의 차이를 가져온다고 본 학자는 튀넨입니다.

 


 

 

29회 기출문제. 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차액지대는 토지의 위치를 중요시하고 비옥도와는 무관하다.

② 준지대는 토지사용에 있어서 지대의 성질에 준하는 잉여로 영구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③ 절대지대는 토지의 생산성과 무관하게 토지가 개인에 의해 배타적으로 소유되는 것으로부터 발생한다.

④ 경제지대는 어떤 생산요소가 다른 용도로 전용되지 않고 현재의 용도에 그대로 사용되도록 지급하는 최소한의 지급액이다.

⑤ 입찰지대는 토지소유자의 노력과 희생 없이 사회 전체의 노력에 의해 창출된 지대이다.

 


정답: 3번

해설

1. 차액지대는 비옥도의 차이, 비옥한 토지량의 제한, 수확체감법칙의 작동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2. 준지대는 토지 이외의 고정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으로서 단기간 일시적으로 발생합니다. 

4. 어떤 생산요소가 다른 용도로 전용되지 않고 현재의 용도에 그대로 사용되도록 지급하는 최소한의 지급액은 전용수입입니다. 경제지대는 생산요소가 실제로 얻고 이는 수입과 전용수입의 차액을 말합니다. 

5. 입찰지대는 단위면적의 토지에 대해 토지이용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금액으로, 초과이윤이 0이 되는 수준의 지대를 말합니다. 

 

 


 

 

멋진 공인중개사를 꿈꾸며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23회 기출문제. 알론소의 입찰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튀넨의 고립국이론을 도시공간에 적용하여 확장,발전시킨 것이다.

② 운송비는 도심지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고, 재화의 평균생산비용은 동일하다는 가정을 전제한다.

③ 지대는 기업주의 정상이윤과 투입생산비를 지불하고 남은 잉여에 해당하며, 토지이용자에게는 최소지불용의액이라 할 수 있다.

④ 도심지역의 이용 가능한 토지는 외곽지역에 비해 한정되어 있어 토지이용자들 사이에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

⑤ 교통비 부담이 너무 커서 도시민이 거주하려고 하지 않는 한계지점이 도시의 주거한계점이다. 

 


 

정답: 3번

해설: 지대는 기업주의 정상이윤과 투입생산비를 지불하고 남은 잉여에 해당하며, 토지이용자에게는 최대지불용의액이라 할 수 있다. 

 

 


 

26회 기출문제.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이론에서는 상호 편익을 가져다주는 활동(들)의 집적지향성(집적이익)을 다핵입지 발생요인 중 하나로 본다.

② 알론소의 입찰지대곡선은 여러 개의 지대곡선 중 가장 높은 부분을 연결한 포락선이다.

③ 헤이그의 마찰비용이론에서는 교통비와 지대를 마찰비용으로 본다.

④ 리카도의 차액지대설에서는 지대 발생원인을 농토의 비옥도에 따른 농작물 수확량의 차이로 파악한다.

⑤ 마샬은 일시적으로 토지의 성격을 가지는 기계, 기구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파레토지대로 정의하였다.

 

 


정답: 5번

해설: 마샬은 일시적으로 토지의 성격을 가지는 기계, 기구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준지대로 정의하였다. 

 

 

하다보니 4문제씩 정리를 하게 되네요. 그냥 이동하면서 재미삼아 문제도 풀어보고 맞는 기출지문들을 자주 읽어보시면 지대론 파트는 금방 익숙해지실 겁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화이팅입니다. 아자아자아자!!!

 

반응형